흔히들 CMOS와 BIOS를 혼동하곤 한다. 컴퓨터 부팅하면서 부팅순서나 연결 장치들의 정보를 보기위한 파란 화면을 CMOS 세팅 또는 BIOS 세팅을 하기 위한 창이라고 이야기 하곤 한다. 둘의 단어적인 의미만 보아도 전혀 다른 두 개의 용어가 왜 혼동되어 비슷하게 사용되고 인식되고 있는지 한번 알아보자.

 

CMOS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는 한글로 표기하면 상보성 금속산화막 반도체라고 한다. '씨모스'라고 불리는 말에 비해 참으로 어렵다. 쉽게 말해 광다이오드를 사용하여 집적회로를 만들기 위한 기술의 하나이다. 이러한 CMOS 기술은 CPU, microcontroller, static RAM 과 같은 디지털 논리 회로에 쓰인다. 더이상 CMOS에 대한 기술을 언급하는 것은 전자공학을 전공하지 않은 사람에게는 오히려 혼란만 가중될 것 같다.

그렇다면 이러한 반도체와 컴퓨터 시스템에서 흔히 말하는 CMOS와 무슨 차이가 있을까? 컴퓨터 메인보드를 살펴보면 RTC/NVRAM이라고 불리우는 CMOS chip이 존재한다. 메인보드 수은 건전지 옆에 존재하는 이 chip이 CMOS 방식으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그냥 그렇게 불리어온 것이다. 수은 건전지는 CMOS battery라고 하는데 시스템이 꺼진 경우에도 RTC/NVRAM의 내용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해 존재한다.

그럼 CMOS 의 핵심인 RTC/NVRAM은 대체 어떤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까?

RTC(Real-Time Clock)은 시스템의 날짜와 시간을 저장하고 있고 NVRAM(Non-Volatile RAM)은 비휘발성 램으로 메모리 크기, 드라이브(플로피 및 하드 등) 타입, 부팅 순서 및 구성 정보 등의 CMOS data를 저장하고 있다.

 

BIOS

BIOS(Basic Input Output System)은 운영체제와 하드웨어 사이의 입출력을 담당하기 위해 저수준의 소프트웨어와 드라이버로 이루어진 펌웨어을 의미한다. 쉽게 말해 운영체제는 메인보드나 그래픽카드와 같은 하드웨어와 통신하기 위해 중간 매개체를 사용해야 한다. 그렇게 되면 운영체제는 세부적인 하드웨어의 구성이나 신호체계를 알 필요없이 중간 매개체와만 통신하면 된다. 이러한 중간 매개체 역할을 하는 것이 BIOS이며 이것은 하드웨어가 제조될 때 제조회사에서 하드웨어에 포함시켜 둔다.

하드웨어에 포함시켰기 때문에 전원이 없는 상태에서도 유지되야 하므로 ROM을 사용한다. 흔히 메인보드의 BIOS를 ROM BIOS라고 부른다. 이것은 메인보드 뿐만아니라 SCSI, VGA에도 포함되어 제조된다.

 

CMOS vs BIOS

그렇다면 이제 왜 CMOS와 BIOS가 혼동되고 있는지 살펴보자. 부팅하면서 부팅 설정을 하기 위한 파란 화면에 뜨는 내용들은 실제 CMOS(RTC/NVRAM)에 저장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도록 파란화면을 뜨게 하는 프로그램(유틸리티)는 ROM BIOS에 존재한다. 따라서 컴퓨터 시스템을 부팅하면서 F1, F2, ESC, Delete(제조 회사마다 차이)들의 키를 누르게 되면 ROM BIOS에 포함된 BIOS 설정 유틸리티가 CMOS의 내용을 읽어와 설정할 수 있도록 보여주는 것이다.

어떻게 보면 CMOS 설정이나 BIOS 설정이나 그 말이 나름대로 의미가 맞는 말일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차이쯤은 인식하고 쓰는 것이 좋을 듯 하다. 

 

 

 

 

http://forensic-proof.com/archives/181

Document

 

- DOM을 설명하기 앞서, Document는 브라우저가 불러온 웹 페이지를 나타내며, 모든 종류의 문서에 대한 공통의 속성과 메서드를 묘사합니다. 

- Document는 node tree로 표현될 수 있으며, tree안의 일부 node들은 children을 가질 수 있고 단순히 node만 존재할 수 있습니다. Document또한 Node를 상속받습니다. 

 

DOM

 

- "DOM"이란 간단히, Document( HTML or XML)을 접근/조작하는 API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문서의 유형(HTML, XML, SVG 등)에 따라서 더 다양한 API가 존재합니다. 그러므로 DOM은 HTML, XML, SVG등을 다루는 API 인터페이스 중 하나이지 DOM이 HTML은 아닙니다.

예컨대 "text/html" 콘텐츠 유형으로 제공되는 HTML 문서는 HTMLDocument 인터페이스도 구현하는 반면, XML과 SVG 문서는 XMLDocument 인터페이스를 구현합니다.

 

 

<!DOCTYPE html>
<html class=e>
 <head><title>Aliens?</title></head>
 <body>Why yes.</body>
</html>

위의 HTML 코드에서 Document는 아래와 같이 node tree로 표현됩니다.

 

 

 

Node

 

 

 

  • 노드는 다양한 DOM API(Document, Element ... )가 상속되는 인터페이스입니다.(모든 DOM 객체는 Node를 상속)

  • 다음 메소드와 속성들이 Node 인터페이스를 상속합니다. ( Document, Element, Attr, Text, Comment, CDATASection, ProcessingInstruction, DocumentFragment, DocumentType, Notation, Entity, EntityReference 등)

  • 엘리먼트는 Node를 상속받으므로 Node.baseURI, Node.childNodes, Node.nodeType 등 (어떤 카테고리에 속해 있는 노드인지 알려주는 식별자)과 같은 속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즉, 문서에는 나와있지 않지만, HTML Document를 구성하는 node tree에서 최상단에 속한 것이 node이고 모든 엘리먼트들은 이 node 인터페이스를 상속받는다고 볼 수 있습니다.

 

 

 

Element

 

 

Element가 Node를 상속함.

Element의 대표적 속성 : attributes, classList, className, clientHeight, id, innerHTML등

 

 

  • 부모의 Node와 그 부모인 EventTarget의 속성을 상속하고 어떤 것들은 직접 구현(implement)합니다.

 

 

HTMLElement

 

HTMLElement은 Element를 상속함.

 

HTMLElement의 대표적 속성 : dataset, innerText, style, Element를 상속한 id 등

 

  • 대표적인 Document 인터페이스 메소드인 getElementById()에 의하여 HTMLElement를 얻을 수 있습니다.
  • 모든 종류의 HTML요소를 나타냅니다. 일부 요소는 이 인터페이스를 직접 구현하지만 나머지 요소는 HTMLElement를 상속한 자식 인터페이스를 구현합니다.

  • 이 요소가 하나 일 경우 HTMLElement이고 복수일경우 HTMLCollection을 반환한다.

 

HTMLCollection

 

  • 일반적으로 document.getElemetsByTag와 같이 복수의 노드를 접근할때 리턴된다. 

  • 유사 배열이다.
  • 가장 큰 특징으로 라이브 컬렉션이다.

  • NodeType을 오로지 ElementNode만 포함한다.

 

 

NodeList

 

  • HTMLCollection과는 다르게 모든 NodeType을 포함한다. 

  • Array는 아니지만 forEach를 사용이 가능하며 Array.from()을 사용하여 Array로도 변환 할 수 있다.
  • document.querySelectorAll은 정적 NodeList를 반환한다.

  • element.childNode는 동적 NodeList(라이브 컬렉션)을 반환한다.
  • 리스트의 항목을 열거할때는 for...in/for each..in을 사용하지말고 for of를 사용하면 NodeList객체를 올바르게 반복합니다.

 

 

 

 

 

 

'Javascript > DOM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img, a 태그의 CORS 문제  (0) 2024.04.23
[JAVASCRIPT] 브라우저 로드 순서  (0) 2019.12.01
[JAVASCRIPT] 스크롤 거리 구하기  (2) 2019.12.01
[JAVASCRIPT] event processing  (0) 2019.12.01

이 문서는 https://webpack.js.org/concepts/loaders/ 를 번역하였습니다.

Loaders

Loader는 import하거나 load한 소스 코드에 적용되는 프론트 엔드 전처리 변환를 제공하는 도구입니다. Loader는 TypeScript와 같은 다른 언어나 data URL로 표현되는 인라인 이미지들을 변환시켜줍니다. 또한 import를 통하여 CSS 파일도 포함시켜 줄 수 있습니다.

Example

Loader를 사용하여 웹팩에게 CSS파일을 불러오거나 TypeScript를 JavsScript로 변환시켜 줄 수 있습니다.
Loader의 설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npm install --save-dev css-loader ts-loader  
( css, typescript 로더 )

웹팩에게 css-loaderts-loader를 이용하여 모든 .css, .ts파일을 변환하라고 설정할 수 있습니다.

webpack.config.js

module.exports = {
  module: {
    rules: [
      { test: /\.css$/, use: 'css-loader' },
      { test: /\.ts$/, use: 'ts-loader' }
    ]
  }
};

Using Loaders

로더를 사용하는 방법에는 세가지가 존재합니다.

  • Configuration (권장): webpack.config.js 파일에 대한 설정.

  • Inline: 각 소스코드에 import 문을 통한 방법.

  • CLI: 스크립트 명령어를 통한 방법.

Configuration 방식

아래의 module.rules 에서 웹팩 설정에서 여러개의 Loader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이 설정을 통하여 웹팩에 어떠한 모듈이 적용되어 있고 사용되는지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Loader는 오른쪽에서 왼쪽(또는 아래에서 위로)으로 평가/실행됩니다. 아래 설정의 경우 sass-loader, css-loader, style-loader의 순서로 실행됩니다.

 

 

 

ERROR in ./src/styles.css
Module build failed (from ./node_modules/css-loader/dist/cjs.js):
CssSyntaxError

(1:1) Unknown word

> 1 | var content = require("!!./styles.css");
    | ^
  2 | 
  3 | if (typeof content === 'string') {

※ style-loader는 css를 DOM에 Inject하는 기능, css-loader는 importurl()등으로 js에서 css를 불러드리는 구문을 해석해주는 기능입니다. 만약 webpack.config.js의 rules의 use순서가 'css-loader','style-loader'일 경우 오른쪽->왼쪽 평가/실행의 webpack특성에 따라 style-loader가 먼저 수행, 즉 css를 import하는 기능이 없는데 style-loader가 먼저 수행되어 build 실패(위의 예)가 됩니다. 그러므로 특성에 맞게 설정(순서)하여야 합니다.

 

 

 

"Loader Features"에서 더 자세한 로더의 특징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module.exports = {
  module: {
    rules: [
      {
        test: /\.css$/,
        use: [
          // style-loader
          { loader: 'style-loader' },
          // css-loader
          {
            loader: 'css-loader',
            options: {
              modules: true
            }
          },
          // sass-loader
          { loader: 'sass-loader' }
        ]
      }
    ]
  }
};

Inline 방식

import구문을 이용하거나 equivalent "importing" method를 통하여 Loader를 지정할 수 있고 !문자로 로더를 분리할 수 있습니다. (각 Loader 부분은 현재 디렉토리를 기준으로 상대 경로입니다.)

import Styles from 'style-loader!css-loader?modules!./styles.css';

또한 모든 preLoader, postLoader등을 !을 이용하여 재정의 할 수 있습니다.

  • ! 를 이용하면 모든 일반 Loader가 제외됩니다.

    import Styles from '!style-loader!css-loader?modules!./styles.css';
  • !!를 이용하면 모든 Loader가 제외됩니다.(preLoaders, loaders, postLoaders)

    import Styles from '!!style-loader!css-loader?modules!./styles.css';
  • -!를 이용하면 postLoader를 제외한 로더들이 제외됩니다.

import Styles from '-!style-loader!css-loader?modules!./styles.css';

이곳에 ?key=value&foo=bar 와 같은 쿼리 파라미터, ?{"key":"value","foo":"bar"} JSON object도 넘겨줄 수 있습니다.

앞서 밝혔듯이 module.rules(Configuration)을 이용하는 것이 보일러 플레이트 감소, 더 빠른 로딩, 편하게 디버깅 할 수 있습니다.

CLI

아래와 같이 CLI을 통하여 Loader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webpack --module-bind jade-loader --module-bind 'css=style-loader!css-loader'

Loader Features

  • Loader는 체인으로 묶이며, 이 체인은 역순으로 실행됩니다. 첫 번째 로더에 의한 변환된 자원은 그 다음 로더에 전달되는 식입니다. 그리고 마지막 로더에 의하여 JavaScript로 리턴됩니다.

  • Loader는 동기/비동기식으로 실행됩니다.

  • Loader는 Node.js에서 동작하며 Node.js에서 가능한 모든 것을 할 수 있습니다.

  • Loader는 options으로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deprecated 됐지만 아직 지원하는 query파라미터도 사용가능)

  • Normal module은 package.json을 통해 일반 main외에 loader필드로 loader를 내보낼 수 있습니다.

  • 플러그인은 Loader에게 기능을 추가합니다.

  • Loader는 추가 임의 파일을 내보낼 수 있습니다. can emit additional arbitrary files.

Loader는 전처리 기능을 통하여 output을 사용자 지정하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이로써 사용자는 압축, 패키징, 언어 변환, 잘 다듬어진 로직들을 include하는데 더 유연해집니다.

Resolving Loaders

Loader는 표준 module resolution를 따르고 대부분의 케이스에서는 module path 에서 로드됩니다.

로더 모듈은 Node.js와 호환되는 JavaScript로 작성된 function을 내보내어져야 합니다. 주로 npm을 통하여 관리하지만 사용자 정의 loader를 통하여도 이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https://github.com/judaihyun/webpack-korean-docs/blob/master/content-ko/concepts/loader.md

+ Recent posts